트럼프발 미국 상호관세를 저번에 포스팅했는데요.
2025.04.04 - [Work/Stock] - 트럼프 미국 상호관세 발표 - 한국 25%
트럼프 미국 상호관세 발표 - 한국 25%
트럼프국 정부가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미국 상호관세다른 나라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
dorudoru.tistory.com
이로 인하여 세계 증시가 폭락하고 있습니다.
미국증시 폭락
뉴욕증시의 낙폭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중국이 똑같이 34%의 보복관세를 매기면서 글로벌 무역전쟁 확산 공포가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것인데요.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시장은 어제에 이어 장중 한때 6% 가까이 빠지며, 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한 ‘약세장’(bear market)에 빠져들기도 했습니다.
특히 중국은 미국의 관세전쟁에 맞서 4일부터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중희토류의 미국 수출을 통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상무부는 성명에서 “중국 정부가 법에 따라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하는 목적은 국가 안보와 이익을 더 잘 보호하고 비확산과 같은 국제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11개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추가해 중국이 외국 기업에 대해 징벌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아직 글로벌 각국은 상호관세에 적극적인 보복 조치에 나서지 않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포문을 연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세계 경제를 주름잡는 미국과 중국이 서로 보복에 나설 경우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증폭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트럼프 관세로 인하여 중국 생산 아이폰의 미국내 가격은 230만원에서 무려 333만원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미국이 다음달 2일부터 800달러 이하 수입품에 적용해 온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데 대해서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요. 이 조치에 따르면 중국과 홍콩에서 들어오는 저가 상품에 최대 30% 관세가 부과됩니다. 관세 부과로 테무, 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됩니다. 혀냊 이들 플랫폼이 취급하는 소액 배송 상품은 중국 대미 수출의 약 11%를 차지한다고 하네요.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을 절대 철회하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하자 증시 낙폭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서 중국의 상호관세 맞대응 보복 조치 발표에 대해 “그들은 플레이를 잘못하고 있다”며 “그들은 당황했다. (이것은) 그들이 감당할 수 없는 단 한 가지”라고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그는 또 다른 SNS 글에서 상호 관세 발표로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한 것과 관련해 “미국에 와서 대규모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이 있다면서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며 “지금은 부자가 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습니다.
시총 1위 애플은 9.25% 떨어졌고, 엔비디아는 7.81% 낙폭을 보였습니다. 3대지수의 낙폭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6월 이후 가장 큰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로써 3대 지수는 주간 기준으로 다우는 7.86%, S&P500은 9.08%, 나스닥은 10.02% 각각 급락한 상황입니다.
이로써 나스닥은 전고점 대비 22% 이상 급락, 베어마켓(하강장)에 진입했습니다. 전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면 조정장, 20% 이상 하락하면 하강장에 진입했다고 평가합니다.
'Work >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미국 상호관세 발표 - 한국 25% (1) | 2025.04.04 |
---|---|
수수료 0원 국세청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 (0) | 2025.04.03 |
연말정산 부양가족과 건강보험 피부양자 차이점 (0) | 2025.03.12 |
금값 폭등과 골드바 그리고 한국 프리미엄 (0) | 2025.02.19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란?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