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을 작업할 때 가상환경을 만들면 편리한데요. 파이썬 가상환경? 파이썬을 활용하다보면 각각의 앱, 프로그램 개발할때 패키지가 다른 것이 사용됩니다. 그래서 한곳에서 개발을 쭉하다보면 이 프로그램에만 필요한 패키지가 무엇인지 알수가 없게 됩니다. 이때 가상환경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실제 사용하는 패키지만 가지고 할수 있고, 특히 웹서버 등 제한된 리소스를 가지고 개발해야할 때에는 가상환경에서 작업이 필요합니다. 웹서버에서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하고 있는 패키지가 있어서 해당 패키지만을 사용해야 하는 등 실제 개발환경에서는 개인용 PC와 다른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이때 가상환경을 venv를 통해서 지원하고 있는데요. https://docs.python.org/ko/3/library/ve..
파이썬으로 워드 클라우드 만들기 먼저 파이썬으로 워드 클라우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워드클라우드를 설치해 줘야 합니다.(pip install wordcloud) Konlpy 설치 Collection 설치 워드 클라우드란? 태그 클라우드라고도 불리우며 단어의 빈도수를 체크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단어 구름이라는 뜻처럼 각각의 태그를 분석하여 중요도나 인기도를 고려하여 웹사이트에 표시합니다. 플리커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고 하네요. 태그 클라우드(영어: tag cloud) 또는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는 메타 데이터에서 얻어진 태그들을 분석하여 중요도나 인기도 등을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늘어 놓아 웹 사이트에 표시하는 것이다. 보통은 2차원의 표와 같은 형..
오늘은 4일차 파이썬 강의 판다스를 알아보겠습니다. 2021.09.01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 - 1일차 2021.09.02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 2일차 - 제어문으로 로또 게임 만들기 2021.09.03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 문법 3일차 - Numpy 2021.09.05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문법 4일차 - 판다스 알아보기 2021.09.07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 문법 5일차 - 판다스 2편 Pandas란? 판다스는 파이썬에서 데이터 구조 및 데이터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입니다. https://p..
이제 파이썬 교육 3일차 입니다. 2021.09.01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 - 1일차 2021.09.02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 2일차 - 제어문으로 로또 게임 만들기 2021.09.03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 문법 3일차 - Numpy 2021.09.05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문법 4일차 - 판다스 알아보기 2021.09.07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 문법 5일차 - 판다스 2편 오늘은 파이썬의 기초 문법 중 Numpy를 배워보았습니다. Numpy란?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Numpy는 파이썬의 배열과 벡터를 처리하기 위한..
어제에 이어서 2일차 교육이 진행됩니다. 2021.09.01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 - 1일차 2021.09.03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 문법 3일차 - Numpy 2021.09.05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문법 4일차 - 판다스 알아보기 2021.09.07 - [Tip & Tech/Python] - 파이썬 기초 문법 5일차 - 판다스 2편 오늘 시간에는 파이썬의 제어문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제어문이란? 순차 반복 선택 제어문은 위에 나타난 순차, 반복, 선택이라는 3가지 동작을 하는 문법을 뜻합니다. 주요한 제어문에는 IF문, For문, While문이 있는데요. 이중 가장 먼저 먼저 IF문에 대..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을 활용해서 네이버 웹툰 사이트를 웹크롤링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웹크롤링 단계 사실 웹크롤링은 웹페이지의 가져와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것인데요. 나무위키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크롤링(crawling) 혹은 스크레이핑(scraping)은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거기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다. 크롤링하는 소프트웨어는 크롤러(crawler)라고 부른다. 저와 같은 초보일수록 기초적인 실수를 안하려면 단계를 정하고 그에 따라서 코딩하는 것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크롤링하려는 페이지 구조확인 및 크롤링하고자 하는 위치파악 코딩 및 필요한 내용 구글링 테스트 및 디버깅 위와 같은 순서로 짜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