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탈종교화 통계와 그 결과

최근 한국갤럽에서 종교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한국 갤럽 종교 의식 조사

한국갤럽은 1984년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 의식〉이라는 보고서를 필두로, 1989년, 1997년, 2004년, 2014년(5차 조사)까지 30년간 변화를 추적해 모두 단행본으로 펴냈습니다.

1980년대 당시는 특정 종교 단체나 기관의 종교 관련 조사만 간혹 있었을 뿐 전 국민 대상 조사 연구가 없었기에,

사회 공익 차원에서 시작한 자체 조사가 지금에 이릅니다.

한국인의 종교의식 조사 개요

  • 조사기간: 2021년 3월 18일~4월 7일
  • 표본추출: 층화 집락 확률 비례 추출
  • 응답방식: 면접조사원 인터뷰
  • 조사대상: 전국(제주 제외) 만 19세 이상 1,500명
  • 표본오차: ±2.5%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32%(총 접촉 4,630명 중 1,500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한국인의 종교 의식 조사 결과

한국인의 종교 비율은 2004년 54%까지 올라갔다가, 1984년 조사 이래로 2021년의 종교인 비율은

40%로 가장 최저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무엇보다 젊은세대 10~20대의 종교 비율이 22%로 최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종교 분포 순위

역시 불교가 16%, 개신교가 17%, 천주교가 6%이며, 종교없음이 60%에 달합니다.

14년 조사보다 모든 종교에서 감소세가 뚜렷하게 보입니다.

연령별 세부 분포도를 살펴보면 불교인 비율은 20·30대 5% 내외, 40대 11%, 50대 이상에서는 25% 내외로

고령층에 집중되어 있다. 불교에 비하면 개신교인(50대 이하 10%대; 60대 이상 23%)과

천주교인(전 연령대 3~8%)의 연령별 분포는 상대적으로 고른 편이다.

그리고 비종교인의 호감가는 종교의 순위를 살펴보면

가장 높은 호감도를 가진 종교는 불교로 나왔습니다.

가장 호감가지 않는 종교는 개신교로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종교를 믿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에서는

54%나 되는 사람들이 관심이 없어서라는 답변을 했습니다.

1997년에 관심이 없어서라는 항목이 26%에 불과했던 것을 고려하면 두배가 넘는 증가인데요.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을 묻는 설문에도 그대로 나타나는데요.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한다고 답변하는 사람은 18%에 불과하였습니다.

사실 이런 젊은층의 무종교화는 국내에 국한되지 않는데요.

기사를 통해 살펴보면 미국 청년들도 높은 속도로 무종교인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종교의 경우 배타성이 점차 강해지고 있고, 코로나시국에도 예배를 강행하는 듯의 모습들이 종교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는데 큰 역활을 한 것 같습니다.

저도 무교이긴 한데요. 사실 굳이 종교가 필요한가 라는 것에서는 저도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무종교인이 늘어날지, 기존 종교가 다시 신뢰를 가질 수 있을지 다음번 조사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전체 조사 결과는 갤럽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갤럽은 1984년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 의식〉이라는 보고서를 필두로, 1989년, 1997년, 2004년, 2014년(5차 조사)까지 30년간 변화를 추적해 모두 단행본으로 펴냈습니다. 1980년대 당시는 특정 종

www.gallup.co.kr

 

728x90

해당 블로그에서 발행되는 콘텐츠 중 일부 글에는 제휴 및 홍보 관련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