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고금리상품 - 웰컴 체크플러스 정기적금 연관 게시물 : [체크카드] 직장인 체크카드 추천 얼마안되는 월급으로 정기적금을 들어볼려고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시중 1금융권 정기적금 이율이 2% 미만으로 떨어져서 정말 이율이 얼마 되지 않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다가 저축은행의 정기적금의 이율은 그래도 아직 3~4%대의 고이율(?)을 준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바로 개설하러 출발! 먼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니 먼저 상품부터 보도록 하자. 웰컴 저축은행에서 당행 체크카드를 보유한 고객에게 판매하는 상품으로 기본 3.2% + 스마트 뱅킹 0.4% + 체크카드 발급 0.6%까지 해서 별다른 노력 없이 누구나 4.2%의 금리를 얻게 된다. 여기에 체크카드를 10~30만원을 쓰게 되면 0.5%의 추가 금리를 30만원..
[체크카드] 직장인 체크카드 추천 연관 게시물 : [재테크] 고금리상품 - 웰컴 체크플러스 정기적금 사실 이제 4년차를 지나 5년차 직장인(이라고 쓰고 아재라 읽는다.)가 되어가는데 제테크 실력은 바닥을 기고 있는게 사실 아직도 단순히 안쓰고 적금으로 모우는게 젤 좋다고 생각하는 1인;; 그래도 내년에는 체크카드를 써보자고 마음먹고 요즘 가장 핫하다던 SC제일은행의 리워드360 체크카드를 발급 받았다. 그래도 어느 ATM에서나 시간 관계없이 수수료 무료인 KDB체카는 버리지는 못할 것 같다. 그리고 법인폰의 본인인증도 풀려서 쓰고 싶었던 핀테크 계열 신한 앱카드도 동시에 발급 받았다. 요세 핫하다던 유니온페이 + 원래 좋아하던 푸로 발급 받았다. 후불 교통이 안되는건 조금 아쉽지만 ㅠㅠ 1) 리워드 36..
[재테크] 연말정산 체크카드/신용카드 유리한 카드는? 신입사원이 들어와서 종종 묻는 질문 중 하나인데요. 연말정산 시 체크카드의 소득공제율은 30%, 신용카드는 15%인데요. 이 경우에 단순 생각할 경우에 2배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무조건 체크카드가 유리할 것 같은데요. 이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저는 세무사가 아니라 공돌이니까 참고 자료로만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시 환급금을 식으로 살펴보면 환급금 = {(카드 사용 금액 - (연소득*0.25))*카드별공제비율(15/30%)}* (종합소득세+주민세) 대략 이런 식으로 구할 수 있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먼저 국세청의 종합소득세 세율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후 신용/체크카드로 공제 받을 수 있는 금액..
[재테크] 펀드 이름 완전 정복하기 요즘과 같은 초 저금리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예금이나 적금에서 벗어나 펀드나 주식에 많이 투자하시는데요. 펀드는 사실 이름부터 어려워서 어떻게 보면 처음부터 두려움(?)이 생기는데 이번 기회에 같이 펀드 이름을 공부해서 펀드 공부를 시작해 보아요~ 일단 펀드 닥터에서 펀드 이름을 한번 조회 해봆디ㅏ. http://www.funddoctor.co.kr 아래처럼 정말 이름을 불러주어야 꽃(?)이 될텐데 이름부터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다 제일 위에 있는 펀드를 예로 들어서 한번 제대로 읽어 보도록 합시다. 사실 펀드 이름은 끊어 읽기만 잘해도 반은 먹고 들어간답니다. 제일위의 펀드의 풀네임은 현대인베스트먼트로우프라이스증권자투자신탁 1(주식)A1 인데요 이를 아래에서 분석해 ..
취준생 시절 떄 하나씩하나씩 서류발표 후 광탈하면 맥주 한 캔 들고 한강물이 따뜻한지 확인하러 다니던 그런 시절.. 저렇게 한강을 자전거로 폭주하면 스트레스도 좀 풀리고 했었는데 ㅎㅎ 그 지독한 스트레스를 이기기 위해 회사 다니면 할려고 하던 Bucket List를 적으면서 하루하루 보냈었는데. 대충 기억에 남는건 1년 1자격증/1 비행기/ 1 따봉(?) ㅎㅎ 그 연장선에서 CCNA/육상무선통신사에 이어서 리눅스 마스터 자격증에 도전.. 사실 제일 쉽다는 말도 있고 LPIC을 볼까 고민하다가 일단 처음이니까 2급부터 도전하자는 마음에.. 1차야 널리알려진 방법처럼 구글 + 블로거들의 힘을 믿고 쉽게 합격했는데.. 2차는 공부해야하는데, 이게 회사원이 되고서는 의지가 없다...... (-0-) 결국 이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