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사용하다가 페이지 전환이 느리다고 생각하신적이 있나요?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와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사이에 프록시 서버가 존재하는데요. 위키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역활을 하는 중계 서버라고 합니다. 프록시 서버(영어: proxy server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프록시 서버 중 일부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 둔다. 이렇게 캐시를 해 두고 난 후에, 캐시 안에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사실 저는 Youtube를 하지 않지만, Youtube를 하신다면 한번 쓸만한 Tool인것 같네요. Vrew이구요 아래 링크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vrew.voyagerx.com/ko/ 영상에 자동으로 자막을 달아줍니다. 파일을 설치하셔도 되고 간단히 웹에서 테스트도 가능한데요. 파일을 올리면 아래처럼 음성분석을 합니다. 아주 예전에 제가 작성한 키보드 리뷰를 돌려보았더니 이렇게 음성인식 언어를 선택할 수 있구요. 현재 4개의 언어를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한국어/영어/일본어/스페인어! 그리고 확인을 누르면 영상에 따라 좀 인공지능이 처리하는 시간을 거친 후 이렇게 생각보다 자연스럽게 자막을 생성해 줍니다. 요즘에는 역시 점점 AI로 고도화 되서 단순한 반복은 이제 컴퓨터가 많이 대신해줄 수 있을것 같..
저는 오랫동안 네이트 메일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네이트에서는 외부 메일(다음, 네이버, 구글 등)을 가져와서 볼수 있는데요. 하단에 위치한 외부메일 설정하기를 누르면 외부메일을 연동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사용하는 Gmail을 연동하고자 한다면, 아래처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으면 됩니다. 다만 쥐메일의 경우 보안이 강화되었는데요. -ERR [AUTH] Username and password not accepted라고 뜨네요. 아래링크에서 보안 수준이 낮은 앱의 액세스를 해제해주셔야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과정이 필요할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2단계를 모두 해주어야 하는데요. -ERR [AUTH] Web login required: https://support.google.com/mail/a..
요즘 재택근무 및 원격강의가 많아지면서, 집에서 인터넷 사용량이 늘어나니 기존에 사용하던 공유기가 느리고 끊긴다는 문의가 많이 오는데요. 그래서 큰맘 먹고 구매하려고 했는데.. 모델은 왜이렇게 많은건지 쇼핑몰에 치니 27만개가 검색되네요... 그래서 오늘은 공유기 구매 관련시 중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와이파이란? 먼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인 것처럼 와이파이 공유기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나무위키 설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표준 기술 중 하나인 IEEE 802.11에 기반한 서로 다른 장치들간의 데이터 전송 규약이다. 일반적으로 Wi-Fi와 IEEE 802.11을 혼동하는데 Wi-Fi가 IEEE 802.11에 기반하고 있을 뿐이지 IEEE 802.11과 Wi-Fi는 엄연히 다르다.[1] 상용 명..
페이스북에서 이벤트 등을 시행할때, 새로운 글이 올라오면 뒤로 밀리게 되는데요. 이때 게시물 상단 고정하기 기능이나 끌올을 하면 좀더 오래 노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게시물 상단 고정하기 상단 고정하고 싶은 포스팅에서 우측 점 3개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페이지 상단에 고정을 누릅니다. 그러면 이렇게 메인페이지에서 상단 고정 게시물로 고정이 됩니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인것 처럼, 상단 고정 게시물에서 해지하기 위해서는 동일하게 우측 점 세개를 클릭하신 후 페이지 상단 고정 취소를 누르시면 됩니다. 끌올 하기 상단에 고정하기가 부담스러우시다면, 밑에 글을 끌어 올릴 수도 있는데요. 이때에는 올리고자하는 게시글에서 하단에 공유하기를 누릅니다. 페이지에 공유하기를 누릅니다. 관리하는 페이지가 여러개 일..
요즘 재택근무 등으로 카카오톡을 사용할 일이 많은데요. 이 때, 파일저장 경로가 기본폴더인 문서->카카오톡받은파일에서 제가 원하는 폴더로 매번 바꾸어야 하는데요. 사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업무용을 구분이 필요할때도 있는데요. 이럴때 저장 경로를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톡 사진 저장경로 바꾸는 방법 1. 먼저 피시버전 하단에 위치한 톱니바퀴(설정)을 클릭합니다. 2. 설정 -> 채팅 -> 다운로드 폴더의 변경을 누릅니다. 현재 기본 폴더인 문서의 카카오톡 받은파일로 되어 있습니다. 3. 원하는 폴더로 변경해 줍니다. 4. 다운로드 폴더가 올바르게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정말 간단하죠? 카카오톡 다운로드 폴더를 다른곳으로 설정해서 편하게 관리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