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애드센스의 광고 단가가 낮아졌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광고 단가
기본적으로 애드센스의 구조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애드센스는 광고주가 내보내는 광고를 내 홈페이지에 싣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구조입니다.
즉 아파트의 광고칸처럼 온라인의 내 홈페이지에 광고판을 달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기본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오는 곳(방문자수), 그리고 눈에 잘 띄는 위치(배치), 비싼 광고 단가, 광고 후 액션(클릭 등) 등이 애드센스의 수입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애드센스 수익이 줄어든 이유
앞서 살펴본 것처럼 애드센스의 주요한 요소에 따라 광고 수익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데요.
방문자수
먼저 사이트의 방문자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사실 유튜브가 등장하면서 블로그의 방문자가 줄어들었는데요. 이제 거기서 더 나아가 ChatGPT가 등장하면서 블로그에서 정보를 얻는 것보다 ChatGPT에 물어보는 것이 일상화되었습니다. ChatGPT 출시후 전세계적으로 37억명이 방문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특히 젊은 층일 수록 Chatgpt 사용율이 높았습니다.
광고 단가 관련
애드센스는 페이지 RPM(Page Revenue per Mille)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요. 이는 1,000회 페이지 조회당 얻을 수 있는 수익입니다.
다만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 요인이 너무 어려운 상황에서 많은 업체들이 광고를 줄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특히 게임/스타트업이 줄어들면서 광고 자체가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광고의 수량 자체가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연초에는 광고 물량이 많이 풀리는데, 올해의 경우 연초임에도 불구하고 광고가 막 밀려나오지는 않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수익형 블로그를 하는 사람들 중에 많은 수익을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ChatGPT가 줄수 없는 가치를 블로그를 통해서 주고 있고, 또 방문자를 늘리는 그들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애드센스 페이지의 수익 예상 지표를 보면 부동산 블로그의 경우 한달에 50,000회, 하루 기준으로 방문자가 1600명 정도 수준이면 일년에 1700달러(한화 250만원) 정도의 수익이 난다고 합니다. 한달에 20만원정도가 되겠네요.
간단하게 생각해서 하루에 2000명이 오면 일일 1만원 정도 수익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일단 현실적으로 애드센스에서 수익을 내려면 기본적인 방문자 수를 늘려서 하루에 평균적으로 2000명정도 오는 블로그를 만들고 그리고 고단가인 키워드를 찾아서 블로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직 2000명이 되지 않았다면 블로그 수익에 실망할 것이 아니라 꾸준한 포스팅을 통해서 방문자 2000명 정도는 만들고 이후에 수익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Tip & Tech > B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메뉴바 설정하기 (0) | 2024.12.24 |
---|---|
블로그 생성 후 할일 - 블로그 검색엔진에 등록 (19) | 2024.09.08 |
오랜만의 티스토리 개편 - 모두의 홈 (15) | 2024.08.28 |
티스토리 스킨 변경 - 한눈에 스킨 (33) | 2024.05.21 |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 통계 확인하기 (2)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