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타기 VS 불타기?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하다보면 물타기와 불타기라는 말을 듣게 되는데요.

오늘 그 단어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etc-image-0

물타기 불타기?

주식을 하다보면 물타기라는 말은 정말 자주 듣게 되는데요. 물타기라는 것은 주가가 하락하는 파란색 시그널일때 주식을 좀더 사는 것을 말합니다.

etc-image-1

주가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계속 주식에 투자하면 평단가가 늘어나게 되는데요. 이런 방식을 물타기라고 합니다.

반대로 주식이 상승할때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믿고 주식을 사는 것을 불타기라고 합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이해가 쉬운데요. 즉 물타기는 점점 떨어지는 주식에 계속 주식을 구매해서 주식 수를 늘려가고 평단가를 낮춰서 이후 상승장이 오면 손실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etc-image-2

불타기는 주식이 계속 붉은색으로 상승할때, 주식을 계속 사서 주식 개수를 늘리는 것인데요. 이에 따라서 수익률은 낮아지나 수익 자체는 증가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에 산 주식이 80만원이 됬을 때 물타기를 해서 100만원을 추가 구입하면 총 200만원으로 180만원이 되서 손실율이 20> 10%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후 상승장이 왔을때 빠르게 복귀가 가능하죠.

etc-image-3

다만 문제점은 계속 떨어질 경우 물타기가 아니라 손절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주식의 경우 분할 매수와 분할 매도가 기본이 되어야 하는데요. 그 뿐만 아니라 이 주식 자체의 펀더멘털이 있어서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대상인지 부터 확인하고 주식을 구매해야 합니다.

최근 2차전지로 핫했던 금양을 만약 17만원대에 사고 계속을 물을 탔다면 지금 엄청난 손실이 생기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빠르게 손절을 하는 것이 맞는 대처방법이지요.

etc-image-4

하지만 어떤 주식이 어떻게 움직일지 알수 없기 때문에 또 쉬운일이 아닙니다.

728x90

해당 블로그에서 발행되는 콘텐츠 중 일부 글에는 제휴 및 홍보 관련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dorudoru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